테일러 급수와 매클로린 급수

지난 글에서 다음과 같이 어떤 거듭제곱 급수(power series)로 쓰여진 함수에 대해서 다뤘었다. 사실 이는 다항식(polynomial)을 의미한다.
어떤 함수를 거듭제곱 급수 형태로 쓸려고 할 때 급수의 계수(coefficient)를 어떻게 설정할 것이냐가 중요하다. 유일성 정리(uniqueness theorem)에 의해 급수의 계수는 하나로 정해지는데 그 계수를 구하는 방법 중 가장 많이 쓰는 방법인 테일러 전개(Taylor expansion)에 대해 다뤄보자.

먼저 유일성 정리의 증명 과정에서 함수가 균등 수렴(uniform convergence)한다면 합기호와 미분(derivative)의 순서를 바꿀 수 있음을 이용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관계들을 생각해보자.
이 관계는 순저히 식 (1)의 거듭제곱 급수 전개에서 만든 다항식의 성질을 이용해 만들었다. 이를 일반화시키면 다음과 같은 식이 나온다.
이제 식 (6)을 이용해서 식 (1)의 계수들을 정해주자.
식 (7)을 이용해서 식 (1)을 다시 쓰면 다음과 같다.

식 (8)과 같이 전개하는 급수를 매클로린 급수(Maclaurin series)라고 부른다. 매클로린 급수는 일일히 언급하기 힘들 정도로 물리학의 많은 분야, 아니 거의 대부분의 물리학을 이루는 함수 전개 방법이다.
실제 방정식에서 다루기 힘든 함수, 예를 들면 삼각 함수(sinusoidal function) 혹은 지수 함수(exponential function)를 매클로린 급수를 이용해 전개해서 문제를 간단하게 만든다.
특히 매클로린 급수는
따라서

다루기 곤란한 함수를 매클로린 급수를 이용해서 다항식의 형태로 바꿔쓰면 이 다항식은 항이 무한해진다. 하지만 적당한 선에서 끊는다 하더라도
따라서 할 수 있는 최대한 항을 고려하면 고려할 수록 매클로린 급수로 바꿔쓴 함수는 원래 함수와 아주 유사한 결과를 주게 된다. 사실 많은 물리학은 첫째항만 고려해도 아주 정밀하며 많이 고려해 3차항 정도까지 고려한다.

이번엔
그리고 매클로린 급수때와 비슷한 방식으로 계수들을 구해주자.
따라서 일반화된 계수는 다음과 같다.
따라서 식 (9)는 다음과 같이 쓰인다.
식 (15)와 같은 함수 전개를 테일러 전개(Taylor expansion)이라고 부른다. 매클로린 전개(Maclaurin expansion)는
매클로린 급수 때와 마찬가지로 테일러 급수(Taylor series) 또한

마지막으로 자주 쓰이는 매클로린 급수들을 소개하고 마무리를 짓겠다. 실제로 전개하려는 함수 미분의 성질을 잘 이용해 매클로린 급수 구하는 방법에 적용시키면 다음과 같은 식들이 성립함을 잘 알 수 있다.
다음 세 식은
다음 네 식은
마지막 식은
거듭제곱 급수와 수렴 반경, 유일성 정리
이번에는 함수 급수(series of function)이 가지는 형태 중 물리학에서 많이 사용하는 형태인 거듭제곱 급수(power series)에 대해서 알아보자. 우리가 만나는 대부분의 물리학 방정식은 깔끔하게 풀리지
boringphys.tistory.com